1.1.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는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 해서 저장 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입니다.
-
공유 데이터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이기 때문에 사용 목적이 다른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해야 함
-
통합 데이터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통제가 가능한 중복만 허용.
-
저장 데이터
컴퓨터가 저장할 수 있는 매체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해야 함.
-
운영 데이터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이터
1.2.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
실시간 접근 가능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에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준 실시간(실시간에 준하여) 대개 몇 초를 넘지 않는 시간 내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계속 변화 가능 데이터베이스는 현실 세계의 상태를 정확히 반영해야 한다. 현실 세계는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도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동적인 특징이 있어 CRUD의 특징을 가진다.
- C : Create (생성)
- R : Read (읽기)
- U : Update (갱신)
- D : Delete (삭제)
-
동시 공유 가능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 공유의 특징을 제공해야 한다.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지원해야 한다.
-
내용으로 참조 가능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주소나 위치가 아닌 데이터의 내용, 값으로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내용 조건만 제시하면 조건에 맞는 데이터가 서로 다른 위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2.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2.1. 데이터의 종류
나에게 맞는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집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2.1.1. 정형 데이터
정형 데이터는 구조화된 데이터이다.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행과 열과 같은 스키마에 맞추어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다.
과목 | 점수 | 등수 | 등급 |
---|---|---|---|
데이터베이스 | 100 | 1 | A+ |
클라우드 | 95 | 3 | A+ |
2.1.2. 반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는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이지만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설명이 존재한다. 구조를 파악하는 파싱(Parsing) 과정이 필요하다. 웹에서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HTML, XML, JSON 문서가 그 예이다.
{
"이름" : "데이터베이스"
"점수" : 100
"등수" : 1
"등급" : "A+"
}
2.1.3. 비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는 정해진 구조가 없이 저장된 데이터 입니다. 텍스트, 영상, 이미지, 워드, PDF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표적인 예이다. 데이터의 크기가 크고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특징이 있다.
출처
김연희, 데이터베이스 개론, 한빛아카데미, 2019
이영호, 가천대학교 데이터베이스 수업, 가천대학교, 2019
'Study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0) | 2019.10.31 |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1) | 2019.10.31 |
ACID (0) | 2019.10.11 |
OLTP와 OLAP (0) | 2019.10.10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0) | 2019.09.27 |